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주관적 직무수행 평가 양식
    심리학 2021. 6. 11. 01:31
    반응형

    <주관적 직무수행 평가 양식>

    1. 도식 평정 척도

    2. 행동 기준 평정 척도

    3. 체크리스트

    4. 직원비교법

    5. 서술식

    6. MBO 가 있다. 

     

     

    도식 평정 척도 

    -직무 수행에 관련된 여러 개의 특성, 차원을 정하고 이에 대해 평가하게 하는 방법

    -포괄적인 수행 정보를 제공한다 (결핍과 오염의 문제를 완화시킴)

    -개발과 사용이 용이하다.

    -차원과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평정의 오류가 우려된다

     

    행동 기준 평정 척도 

    - 직무수행의 여러 수준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행동 사례를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지각된다. 

    (그런데 그 증거는 약하다..)

    - 개발에 시간과 자원이 많이 든다. 

     

    도식 평정 척도는 차원과 기준이 안 명확하니까 개발하는게 쉽고

    행동 기준은 복잡하니까 개발하는 게 어렵고.

     

    체크리스트 

    구체적인 직무 행동 문장 읽고 관찰 여부를 체크하도록 하는 방법인데

    평가 자 오류에 취약하다.

    왜? 

    평가자가 직접 관찰하지 못한 경우, 

    오류 가능성이 높다. 

     

    직원비교법 

    -순위법 

    : 비교 대상이 되는 직원들의 순위를 매기게 하는 방법이다. 

    정확한 서열화가 어렵다 

     

    -짝비교 

    짝비교가 있는데, 다른 모든 직원과의 짝을 제시하고 비교하게 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비교 대상의 수가 증가할수록 평가에 시간이 많이 든다.

     

    -강제 배분법 

    강제 배분법이 있다. 

    A, B, C로 나누는 것과 같은 방법이다. 

    특정 범주에 비율따라 분류한다. 

    임금 결정 등에는 유용한데, 평가자와 피평가자들의 수용도가 낮다. 

     

     

    서술식

    -피평가자의 수행의 장점 단점 개선 필요차원을 글로 쓰는 방법이다.

    개발 목적으로 유용하나, 평가자에게 많은 부담이 된다. 

     

    MBO MANAGEMENT BY OBJECTIVES

    조직 및 부서의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개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수행 정도를 평가하고 보상을 결정하는 방법 

     

     

     

     

     

    경영학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직원복지 커리어에 관심많으면 이거 한다. 

    장점이 좋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