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
[인사심리학] 직원 고용 방법에 대한 타당화 연구심리학 2021. 6. 11. 02:10
인사 선발 결정하는 목적은 바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사람을 고용하기 위해서이다! 그렇다면 인사선발의 핵심은? -준거변인을 잘 예측할 ksao를 선택하고 -선택된 ksao를 잘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 방법을 선택하고 - 평가가 실제로 준거를 예측하는지, 타당화 연구가 필요하다. 타당화 연구란? 인사선발도구로 평가한 예언변인이 준거변인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 타당도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상관계수가 높을수록 준거타당도가 높다고 추론한다. 1) 예측 타당도 연구 2) 동시 타당도 연구 3) 교차 타당도 연구가 있다. 타당화 연구 절차 1. 직무 분석한다 2. 준거를 선택한다. 일을 잘한다는 것은 뭐지? 거기에 따른 3. 예언변인을 선택한다. ksao에 따른 인지느역 검사, 성격 검사 등등.. 4. 타..
-
누군가를 평가할 때 쉽게 범하는 오류 (FEAT. 심리학)심리학 2021. 6. 11. 01:37
일반적으로 수행 평정시 사람들이 쉽게 범하는 오류들이 있다 1. 후광 오류 "수학 잘 하면 물리학도 잘 하겠지.." 이런걸 후광오류라고 한다. 평가차원간의 상관이 지나치게 높으면 후광오류 가능성이 존재한다. 타당하지 않은 후광 VS 타당한 후광 타당한 후광도 있다. 2. 분포적 오류 -평가 대상자의 수행수준에 기초하지 않고 대부분의 평가자에게 관대하게 평가하거나, 아니면 모두에게 짜게 점수를 준다거나. 이런걸 분포적 오류라고 한다. 관대화 오류 VS 엄격화 오류 아니면 모두 다 보통으로 평가해버리는 '중앙집중 오류'도 있다. 3. 첫인상 오류 / 최신 오류 처음에 본 행동(첫인상 오류) 또는 최근에 본 행동(최신 오류)이 지나치게 의존하여 평가를 내리는 오류가 있다. 4. 유사성 오류 자기와 비슷한 대상..
-
주관적 직무수행 평가 양식심리학 2021. 6. 11. 01:31
1. 도식 평정 척도 2. 행동 기준 평정 척도 3. 체크리스트 4. 직원비교법 5. 서술식 6. MBO 가 있다. 도식 평정 척도 -직무 수행에 관련된 여러 개의 특성, 차원을 정하고 이에 대해 평가하게 하는 방법 -포괄적인 수행 정보를 제공한다 (결핍과 오염의 문제를 완화시킴) -개발과 사용이 용이하다. -차원과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평정의 오류가 우려된다 행동 기준 평정 척도 - 직무수행의 여러 수준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행동 사례를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지각된다. (그런데 그 증거는 약하다..) - 개발에 시간과 자원이 많이 든다. 도식 평정 척도는 차원과 기준이 안 명확하니까 개발하는게 쉽고 행동 기준은 복잡하니까 개발하는 게 어렵고. 체크..
-
-
[인간중심치료] 인간은 잠재능력을 지니고 있는 존재이다.심리학/상담심리학 2021. 5. 25. 06:18
인간중심치료는 인본주의적 심리치료로서 긍정적인 인간관에 기초하고 있다. rogers에 따르면, 인간은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내면적 동기와 잠재능력을 갖고 있는 존재이다. 치료자가 내담자를 '변화'시키려 하기 보다는, 진솔한 분위기를 제공할 때에 내담자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인간은 실현 경향성 actualization tendency 을 지닌다. rogers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의 모든 잠재력을 발현하여, 좀 더 가치 있는 존재로 성장하려는 선천적인 성향을 지닌다. 이런 '실현 경향성'이 차단되거나 봉쇄되었을 때, 인간은 부적응적 문제를 나타낸다. 어린 아이는 재능, 행동양식을 선천적으로 갖고 태어나는데, 부모나 어른들은 이를 수용하지 못하고 자신의 가치 기준에 맞추어 조건부로 수용하게 된다...
-
[인지행동치료] 심리학이 비만을 치료하는 방법심리학/건강심리학 2021. 4. 21. 02:37
비만에 개입할 때에 부적응적인 식습관을 개선시키기 위해 인지행동치료를 사용한다. 크게는 선별 검사 -> 자가 모니터링 -> 자극 조절 -> 섭식 통제 -> 자기 강화 -> 자기 대화 통제하기 ->운동 -> 스트레스 조절 -> 사회적 지지의 과정을 거친다. 1. 선별검사 : 어떤 프로그램은 체중 감량을 위한 동기와 준비성을 기준으로 참가자를 선별하면서 시작한다. 실패했던 이전의 식이 조절 시도와 체중 감량의 실패, 체중 증가, 낮은 자존감은 모두 체중 감량 노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이다. 2. 자가 모니터링 : 비만 환자들은 자신이 무엇을, 언제, 얼마나 먹는지 기록하는 자가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이걸 실시하면서 많은 환자들이 자신이 실제로 무엇을 언제 얼마나 먹는지 깨닫고 놀란다고 한다. 이렇게 기록하는 행..
-
주체성을 느껴야 동기가 높아집니다. (feat. 도피질)심리학/동기와정서 2020. 10. 19. 10:55
1. 도피질에 대해서. 이 도피질은 아까 말한 것처럼 측두엽을 벌려서 안쪽에 숨어있는 부분이라 했습니다. 이 도피질은, 우리의 신체 상태를 살피는, 그런 기능을 합니다. 자율 신경계 이런 신체 상태가 어떻게 동작하고 있는지를 받아들여서 그 정보로부터 내 주관적인 느낌이 어떤지 파악합니다. 2. 도피질은 직관적인 느낌, 정서반응을 판단합니다. 도피질에는 미각 피질이나 후각 처리 피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어떤 맛에 대한 느낌, 그리고 뭔가 역겨운 반응, 구역질 역겨움 이런 것에 대한 정서반응이 도피질에서 관장합니다. 그런 어떤 것들을 다 모아서 보면, 직관적인 느낌있죠. 어 이거 뭔가 이상하다 뭔가 위험하다. 애매한 상태에서도 그런 직관적인 느낌을 판단해내는 게 도피질의 역할입니다. 아마 이 도피질이 ..
-
중뇌의 복측에 있는 뇌신경핵 알아보기심리학/뇌 2020. 10. 19. 07:16
뇌줄기의 윗부분을 중뇌, 아랫부분을 후뇌라고 합니다. . 중뇌에도 위에 배측이 있고 복측이 잇겠죠 위쪽이 배측이고, 아래쪽이 복측이죠. 중뇌의 복측 쪽에 동기와 정서와 관련된 영역이 모여있어요 그리고 이 복측에 뇌 신경핵의 일부가 있습니다. 뇌신경핵이란? 출처 입력 목 윗 부분에 해당하는 얼굴/ 뺨/ 입술 이런 눈동자/ 움직임/ 이런 것들에 관련된 싱경 우리가 혀를 얼럴러 움직이게 한다든가 눈을 깜박감빡한다든가 화가 나면 얼굴 표정 일그러지는 거 그런 걸 조절하는 신경들 그런 것들이 뇌신경입니다. 슬프면 눈물 흘리게 하는 눈물샘을 관장한다든가, 그런 것들이 뇌간에 쭉 붙어있어요 뇌신경에서 하는 일, 그런 것들이 뇌간에 쭉 붙어있습니다. 그리고 "망상체"라는 뇌를 각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게 잇고요. "흑질..
-
각성이라는 게 동기에 얼마나 중요한데요. (feat. 망상체)심리학/동기와정서 2020. 10. 19. 06:50
저 노랭이 보이시나요? 제가 형광펜을 쫙 쳐놨습니다. 저 노랭이가요. 망상체입니다. 망상체가 뭐하냐면요. 뇌를 깨워요. 망상체에 망상은 우리가 아는 그 망상이 아니고요 그물 망 이라고 해서, 그물 처럼 생긴 모양이라는 뜻입니다. 신경이 그물처럼 얼기설기 되어잇는 형태로 뇌 줄기 안쪽에 뻗어있는데 팍팍 뻗어나가면서 저렇게 네 뇌를 깨우는 일을 해요 전체적으로 뇌를 다 깨워요 그러니까 뇌가 빠릿빠릿 돌아가고 싶으면 외치세요 awake RAS! RAS 라고 해서 망상 활성 체계를 뜻합니다. Reticular activating system, 영어에서도 알겠지만 activate라는 단어를 쓰네요. 상향 활성화 : 각성, 흥분, 집중 등에 관여를 합니다. 망상체야 깨어나라! 망상체야 깨어나라! 망상체야 깨어나라!..
-
동기와 정서와 관련된 뇌 구조 : 피질 영역심리학/동기와정서 2020. 10. 19. 06:20
피질 영역에서는 동기와 정서와 관련된 뇌의 영역이 어디일가? 앞서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런데 전두엽에서도 전전두피질이라고, 전두엽이 파란색으로 표시된 게 다 전두엽이다. 그 중에서도 조금 더 앞에 있는 게 전전두피질이다. 전전두피질이 좀 세분화되어서 나누어져있다. "배외측 전전두피질" 배외측이라고 하면, 배가 dorsal 즉 위쪽이다. 위쪽에 있으면서 외측에 있는 전전두피질. "안와전두피질" 눈동자 있는 곳. 아래쪽이다. 뇌에서 젤 아래 부분에 해당하는부분이 안와전두피질이다. ventral view 아래쪽에서 올려다보면 바닥에 해당하는 부분. 안와 전두피질 밑에 우리 눈동자가 있다. 이게 내측에 잇으면 내측 안와전두피질이고, 바깥족에 있으면 외측 안와전두피질이다. 전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