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일제의 잔재, 현대 교육에 남아있는가?
    교육학개론 2021. 5. 25. 10:23
    반응형

    일제의 잔재

    1. 학술적인 명칭, 교과 내용 면에서 일본식 표현이 아직 많이 남아있고

    2. 일제의 교육체계가 남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교단이 존재한다는 것

    출석의 번호를 매기는

    반에 많은 인원을 넣어서 획일화되고 주입식 교육을 한다는 것 등등이죠.

    법규, 법률 용어같은 것들도 거의 일제 잔재입니다.

    현대 교과서를 검정 맡고, 검사 맡고 하는 거를 지금도 하는데,

    그런 것 자체가 일제가 합병되기 전부터 했습니다.

    수호 조약 맺고 나서 외교권 박탈하고 나면 마음대로 하거든요.

    정말 일제 잔재라는 게 너무나 많아요.

    한두가지가 아니에요.

     

    교과서 검사하는 거라든지, 대학의 정원제도 일제의 잔재입니다.

    조선 사람 넣어주는 게 퍼센티지가 있어서 정원제가 있었습니다.

    안 넣어주려고 정원제가 생겼어요

    지금의 대학 제도도 조금 융통성 있게 해도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능력이 있으면 넣어도 된다는 것,

    인원수를 꼭 100명으로 해서 하는 게 꼭 필요할까요

    물론 미국도 정원이 있지만, 엄격하게 이 정도는 아닙니다.

    어느 정도 끊을까 대강 선은 있지만 같이 의논합니다.

    학교 시설 용량이라든가, 교사 수때문에 하는 것이고,

    그런 것없이 무조건 인원수 정원제를 만들지는 않습니다.

    수도없이 많습니다.

    개별화, 학과 학습 편성,

    이런 것도 알고 보면 융통성 있게 할 수 있는 부분이죠.

    획일화라고 했는데

    반 인원수를 무 자르듯 할 수는 없습니다.

    앞으로의 과제

    으면서 서로 의견을 주고 받은 게 전통적인 교육이었지 않을까요?

    이렇게 자유롭게 말하는 분위기가 되어야할 것 같아요.

    학술 용어들의 정리가 필요하고,

    역사적인 교육이 조금 더 강조되어야 합니다.

    정치적인 것도 배워나가야 하지요.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제 식민교육의 잔재는 많이 남아있습니다.

    앞으로 자유로운 분위기와 역사공부를 더 확장해야 합니다.

     

    일제의 잔재

    1. 학술적인 명칭, 교과 내용 면에서 일본식 표현이 아직 많이 남아있고

    2. 일제의 교육체계가 남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교단이 존재한다는 것

    출석의 번호를 매기는

    반에 많은 인원을 넣어서 획일화되고 주입식 교육을 한다는 것 등등이죠.

    법규, 법률 용어같은 것들도 거의 일제 잔재입니다.

    현대 교과서를 검정 맡고, 검사 맡고 하는 거를 지금도 하는데,

    그런 것 자체가 일제가 합병되기 전부터 했습니다.

    수호 조약 맺고 나서 외교권 박탈하고 나면 마음대로 하거든요.

    정말 일제 잔재라는 게 너무나 많아요.

    한두가지가 아니에요.

     

    반응형

    '교육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학의 두 특성, 가치중립과 가치지향  (0) 2021.05.25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