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거울 뉴런 - 바라만 봐도 우리는 그것을 모방하게 된다.
    심리학/뇌 2020. 10. 10. 11:54
    반응형

    원숭이의 뇌 속에는 다른 대상의 행동을 보기만 해도 자동으로 모방하게 하는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바로 전운동 피질의 뉴런이다. premotor cortex.

    이 뉴런들은 다른 원숭이가 같은 제스처를 취하는 것을 관찰하기만 해도 흥분한다. 

    gallese, fadiga, fogassi & rizzolatti, 1996

     

    mirror neurons 거울 뉴런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기만 해도 자신이 그 행동을 하는 것처럼 흥분하기 때문에 거울 뉴런이라고 불린다. 

     

    모방 행동이란, 프라이밍의 가장 단순한 형태이다. 

     

     

    우리의 머릿 속에는 지각 - 행동 간 고속도로가 있다. 

    지각과 행동 사이의 고속도로가 있는 것처럼 지각은 단순 모방 행동으로 곧바로 이어지게 된다. 

    (dijksterhuis, chart- rand & Aarts 2007)

     

     

    1. 아이스크림 실험 

     

    아이스크림 실험이 있다. 

    실험참여자들에게 아이스크림이 얼마나 맛있는지 판단하라는 과제를 주고, 

    실험에 공모자를 넣어 실험참여자보다 먼저 아이스크림을 시식하게 했다. 

     

    한 조건에서는 공모자가 매우 적은 양을 떠서 맛보앗고, 다른 조건에서는 매우 큰 덩어리를 시식했다. 

    종속조건은 아이스크림의 양이었다. 

     

    공모자가 작은 덩어리의 양을 먹었던 조건보다 큰 덩어리를 떠먹은 조건에서 

    실험참여자들은 더 많은 아이스크림을 시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후 확인에 따르면, 실험참여자들은 자신의 행동이 공모자의 행동에 영향을 받았다는 걸 

    전혀 의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세가 닮아진다. 

     

     

    프랭크 베르니에르의 연구에 따르면, 함께 대화하는 사람들의 자세 모방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목소리가 닮았다. 

     

    무의식적으로 모방하는 것은 행동과 자세뿐만이 아니라 목소리도 마찬가지이다. 

     

    롤란드 노이만과 프리츠 스트랙은 목소리의 음조 역시 모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Neumann & Strack,2000)

     

    => 사람들이 타인의 행동을 지각하기만 해도 이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모방한다는 연구는, 원숭이뿐만이 아니라 사람들의 뇌에도 거울 뉴런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을 가능케 한다. 

     

    Chartrand & Bargh , 1999 

     

    그렇다면 우리는 왜 거울 뉴런을 가지고 태어난 것일까? 

    거울 뉴런 -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기만 해도 자신이 실제로 그 행동을 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흥분하는. 

     

    이 거울 뉴런은 우리로 하여금 타인의 ㅐㅎㅇ동을 보다 입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타인의 행동을 단순히 관찰하기만 해도 자신이 실제로 그 행동을 한 것처럼 경험할 수 있다. 

    거울 뉴런이 있기에 우리는 그 사람의 입장에서 역지사지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영화를 볼 때 주인공과 같은 기분을 맛보게 되는 것도 이 이유에서다. 

     

    공감한다는 것은 상대방의 목표, 욕구, 소망과 같은 행동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거울 뉴런의 존재는 공감의 신경학적 기초에 있다. 우리가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태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폐증의 가장 큰 특징은 타인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들에게 가장 부족한 능력 중 하나는 바로 모방능력이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자폐증은 타인의 행동모방과 관련된 뇌 부위의 활동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 원인은 거울 뉴런의 문제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가 타인의 행동을 지각하기만 해도 이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모방한다는 것은 중요한 사회적 기능의 가치를 지닌다. 

     

     

    프라이밍 - 전우영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