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체성을 느껴야 동기가 높아집니다. (feat. 도피질)심리학/동기와정서 2020. 10. 19. 10:55반응형
1. 도피질에 대해서.
이 도피질은 아까 말한 것처럼
측두엽을 벌려서 안쪽에 숨어있는 부분이라 했습니다.
이 도피질은,
우리의 신체 상태를 살피는, 그런 기능을 합니다.
자율 신경계 이런 신체 상태가
어떻게 동작하고 있는지를 받아들여서
그 정보로부터
내 주관적인 느낌이 어떤지 파악합니다.
2. 도피질은 직관적인 느낌, 정서반응을 판단합니다.
도피질에는 미각 피질이나 후각 처리 피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어떤 맛에 대한 느낌,
그리고 뭔가 역겨운 반응, 구역질 역겨움 이런 것에 대한 정서반응이 도피질에서 관장합니다.
그런 어떤 것들을 다 모아서 보면,
직관적인 느낌있죠.
어 이거 뭔가 이상하다 뭔가 위험하다.
애매한 상태에서도 그런 직관적인 느낌을 판단해내는 게 도피질의 역할입니다.
아마 이 도피질이 신체 상태를 계속 관찰하고 있다고 했죠
그런 것으로부터 자기 나름대로의 느낌,
직관적인 느낌을 형성하는 것 아닐 까 하는데
3. 주체성에 대한 직관적인 느낌까지 도피질에서 관장합니다 .
거기에 또 주체성에 대한 직관적인 느낌까지
도피질에서 관장해요
주체성?
내가 뭔가를 하고 있다는 것
내가 주도적으로 뭔가를 하고 있다는 것
주체성에 대한 느낌이 동기에서 중요한 요인이죠.
ㅈ내가 주체적으로 하는 것과, 타인에 의해 한다 -> 동기적 측면에서 차이가 나죠
내가 주도적인 통제 능력이 있다고 하면
동기 수준이 올라가는데,
내가 주체적이지 않고 타인에 의해 끌려간다고 하면
동기가 떨어집니다.
쥐를 가지고 실험할 때도
내가 열심히 쳇바퀴를 굴리면 전기 충격의 정도가 줄어든다고 하면
열심히 쳇바퀴를 굴려요
그런데 쳇바퀴를 돌리든 안돌리든 행동과 상관없이 아무때나 전기 충격이 주어진다고 생각이 되면
그때는 동기가 확 떨어집니다.
내가 그런 거 할 필요가 있나? 하는 거죠.
이 주체성에 관한 느낌을 갖는 게 동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죠
여러분들이 목표 프로젝트 진행하려고 계획을세웠는데,
그 목표가 내가 해야겠다는 생각이 얼마나 강하냐 –
아니면 다른 사람이 강요한 목표냐 에 따라서
목표를 수행한 정도는 굉장히 달라집니다. 동
기가 다르기 때문이죠
내가 주체적으로 해야겠다고 세운 목표일수록
수행이 꾸준하게 지속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런 역할을 하는 게 도피질의 역할입니다.
반응형'심리학 > 동기와정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성이라는 게 동기에 얼마나 중요한데요. (feat. 망상체) (0) 2020.10.19 동기와 정서와 관련된 뇌 구조 : 피질 영역 (1) 2020.10.19 1. 동기 연구, 그게 뭐고 왜 하는 건데? (0) 2020.10.19